독감백신 사망자(접종 후)가 늘면서 국민들의 관심이 많아졌습니다. 이에 질병관리청은 백신에 대한 이상반응 등을 관리하고 접종 후 사망한 사람들에 대해 부검을 실시하는 등 많은 점검을 실시하고 있습니다.
질병관리청은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현황은 10월 29일 0시 기준 약 1,644만 건이 등록되었으며, 이 중 국가예방접종사업 대상자의 접종 건수는 1,103만 건이라고 밝혔습니다. 유료접종 541만건
또한 질병관리청은 올해 독감 예방접종 후 이상반응은 총 1,551건으로(10월 29일 0시 기준) 신고되었다고 하며, 예방 접종과의 인과성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.
구분 |
대상자(명) |
접종실적(건, %) |
사용백신 |
||||
무료 |
유료 |
계 |
|||||
생후 6개월 -만12세
|
2회 접종자 (9.81)∼) |
1차 |
424,704 |
244,075 |
6,791 |
250,866 |
민간 자체 구매 백신 |
(57.5) |
(1.6) |
(59.1) |
|||||
2차 |
153,126 |
6,353 |
159,479 |
||||
(36.1) |
(1.5) |
(37.6) |
|||||
1회 접종자 (9.25∼) |
4,784,149 |
3,536,259 |
193,351 |
3,729,610 |
|||
(73.9) |
(4.0) |
(78.0) |
|||||
임신부(9.25∼) |
304,406 |
119,255 |
1,262 |
120,517 |
|||
(39.2) |
(0.4) |
(39.6) |
|||||
장애인연금·수당, 의료급여 수급권자(11.5∼)2) |
637,570 |
93,893 |
3,226 |
97,119 |
|||
(14.7) |
(0.5) |
(15.2) |
|||||
만13-18세(10.13∼) |
2,840,408 |
1,458,912 |
151,836 |
1,610,748 |
조달계약 백신 |
||
(51.4) |
(5.3) |
(56.7) |
|||||
만62세 이상 |
만70세 이상 (10.19∼) |
5,653,313 |
4,436,976 |
145,626 |
4,582,602 |
||
(78.5) |
(2.6) |
(81.1) |
|||||
만62-69세 (10.26∼)3) |
4,939,315 |
2,577,169 |
242,722 |
2,819,891 |
|||
(52.2) |
(4.9) |
(57.1) |
|||||
계 |
19,583,865 |
12,619,665 |
751,167 |
13,370,832 |
|
1) 2회 접종대상자의 경우, 9월 8일부터 사업 추진하였으나 9월 22일∼24일 일시 중단
2) 장애인 연금ㆍ수당과 의료급여 대상자 중복 제거 및 이번 절기 지자체 지원으로 기 접종받은 대상자 제외
3) 만 62~69세의 경우, 10월 26일부터 사업 시행이나 지역특성, 당일진료 등의 사유로 예외인정 되는 경우 10월 19일부터 무료접종 가능
접종 후에 관리만 잘한다면 원하지 않는 사고는 잃어 나지 않을 것 같습니다. 많은 분들이 예방접종을 맞고 있으며, 독감에 의한 피해가 없도록 몸을 잘 관리하셔서 독감 예방접종을 받으시길 바랍니다.
11월 28일 기준 현재 독감백신 사망자수 108명
-20-21 절기 독감 예방접종 후 독감백신사망 신고는 총 108건(11월 28일 0시 기준) 입니다.
거의 독감백신사망자 100명이 넘어 갔습니다.
사망시기와 독감백신 지역별 사망자는 아래 테이블 참고 하세요.
예방 접종 후 사망까지 걸린 시간은 42명이 48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, 24시간 미만은 12명이었다고 합니다.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추가된 사망사례 25건에 대해 인과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25건 모두 다 예방접종과 인과성인 매우 낮다고 판단하였다고 합니다.
-예방접종 후 급성으로 증상이 나타나는 아나필락시스는 없었고, 25건 모두 동일 의료기관, 동일 날짜, 동일 제조번호 접종자들을 대상으로 이상반응 여부를 확인한 결과 예방접종 후 나타날 수 있는 경증이상반응(접종부위 통증 등) 사례 외에 중증이상반응 사례는 없어 백신의 이상이나 접종 과정상의 오류 가능성은 낮다고 판단하였다.
- 개별사례별로 기초조사 및 역학조사 결과, 부검결과, 의무기록, 수진기록 등을 검토한 결과,
① 모든 사망사례에서 사망당시 백신의 이상반응으로 추정되는 소견이 없음, ② 기저질환(심혈관계 질환, 뇌혈관계 질환, 당뇨, 만성 간질환, 부정맥, 만성폐질환, 악성 종양 등)의 악화로 인한 사망가능성이 높음, ③ 부검 결과 명백한 다른 사인이 있음(대동맥 박리, 뇌출혈, 폐동맥 혈전색전증 등), ④ 임상적으로 사망에 이른 다른 사인이 있음(질식사, 패혈증 쇼크, 폐렴 등) 등의 이유로 지금까지 검토한 71건 사례 모두 사망과 예방접종과의 인과성은 매우 낮아 백신 재검정이나 국가예방접종사업 중단을 고려할 상황이 아니라고 판단하였다. |
10월 29일까지 신고된 사망 사례 총 72건 중에 10월 28일까지 40건에 대해서 부검하였고, 31건에 대해서는 아직 시행하지 않았으며, 1건은 현재 부검 중이라고 밝혔습니다.
부검 결과
40건 : 이상소견 없음(확인된 사례 없음)
11건 : 1차 부검 소견으로 확인 불가 (대동맥 박리, 뇌출혈, 폐동맥 혈전색전증, 장폐색
29건 : 부검 결과 육안적으로 허혈성 심장질환(심근경색), 심장판막질환, 심비대 등의 심장 관련 질환, 폐렴 등의 소견이 관찰되어 추가 검사가 진행 중이라고 밝힘
부검을 시행하지 않은 총 31의 사례는 기저질환으로 고혈압, 당뇨, 고지혈증, 천식, 만성신부전, 간경화, 협심증과 심근경색의 심혈관질환, 부정맥, 악성종양, 뇌경색 등을 가지고 있었다 하며, 임상적으로 기저질환의 악화로 인한 사망 및 다른 원인에 의한 사망(질식사, 패혈증 쇼크 등)으로 판단되었다고 합니다.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7개 제조회사의 42개 제조번호로 원액, 제조회사별로 접종 건수 대비 사망신고건을 비교했을 때 사망 사례가 접종한 백신이 특정 원액, 특정 제조사에 편중되지 않았다고 밝혔습니다.
※ 예방접종과 사망과의 인과성을 배제할 수 없는 2건 이상의 중증이상반응 사례가 발생할 경우 백신명, 제조번호 등을 공개할 예정임
백신의 유통 과정, 접종기관과 사망 신고 사례와 관련성을 평가하기 위해 접종 건수 대비 사망신고 건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사망자 중 동일 접종기관에 접종한 사례는 없었고, 그 외 특이사항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합니다.
지금까지의 역학조사와 추가 분석 결과로 피해조사반이 검토한 결과 독감백신 예방접종과는 인과성이 매우 낮다고 판단하고, 지속적으로 추가 조사 및 분석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.
- 사망 신고사례들이 접종한 백신이 특정 원액, 제조사, 제품번호에 집중되어 있지 않음
- 사망 신고사례들의 접종기관은 모두 달랐음
- 사망 신고사례들은 70대 이상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났고 동일한 백신을 접종한 성인과 소아에서는 동일한 경향이 나타나지 않음
- 사망 신고사례들은 접종 후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상반응으로 사망한 사례는 없었고, 통상적으로 중증 이상반응이 발생하는 시기 이후에 사망하였음
- 사망 신고사례별로 의무기록, 부검결과, 역학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인에 대해 전문가 평가결과 인과관계가 인정된 사례가 없었음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인플루엔자 유행 수준은 예년보다 낮고 유행시기가 늦어질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예방접종을 너무 서두르지 마시고 건강상태가 좋은 날에 예방 접종을 받아 주시기를 당부하였습니다.
-접종 대기 중에는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여야 하고 예진 시 아픈 증상이 있거나 평소 앓고 있는 만성질환 및 알레르기 병력은 의료인에게 알려주시고, 접종 후 반드시 의료기관에서 15~30분간 이상 반응 여부를 관찰하라고 하며, 접종 당일의 경우 무리가 가지 않도록 가능한 휴식을 취하도록 안전한 예방 접종을 위한 주의 사항을 강조하였습니다.
접종 후 접종부위의 통증, 빨갛게 부어오름, 부종이나 근육통, 발열, 메스꺼움 등 경미한 이상 증상은 접종 후에 일시적으로 나타 날 수 있다고 하며, 1~2일 이내에 호전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.
하지만, 호흡곤란, 두드러기, 심한 현기증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의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하였습니다. |
위 내용은 질병관리청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되었고, 추가적으로 자세한 내용은 질병관리청 홈페이지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감사합니다.
2020/10/24 - [지식 공유/공유바다] - 독감백신 사망
독감백신 사망
안녕하세요. Hoo^2입니다. 독감백신을 맞고 사망하는 사례가 계속 늘고 있어, 국민이 불안해 하고 있습니다. 이미 맞아 홀가분한 사람들도 계시지만, 접종 후 이상 현상에 대해서도 많은 이야기가
www.jumpjung.com
2020/10/25 - [지식 공유/공유바다] - 독감백신 사망자
독감백신 사망자
질병관리청에서는 안전한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을 위한 예방 수칙을 준수할 것을 요청하고 2020-2021 절기 인플루엔자 국가 예방접종 지원사업을 일정대로 지속한다고 밝혔습니다. 독감백신 사망
www.jumpjung.com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![]() |
수능준비물 수능시간표 (0) | 2020.12.02 |
---|---|
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 (0) | 2020.11.23 |
2020년 추석 (0) | 2020.08.28 |
8월17일임시공휴일, 정부 8대소비 쿠폰,광복절 대휴 (0) | 2020.08.01 |